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기사 바로가기

칼럼

<칼럼>자전거 타기의 생활화

마침내 자전거 타기의 붐 조성은 어느 정도 성공한 것 같다. 지방자치단체들이 다투어 공영자전거제도를 운영하는가 하면, 자전거타기대회도 빈번하게 개최했던 결과이다. 지금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자전거동호인 모임을 조직하여 자전거타기를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

이쯤에서 우리 모두가 자전거타기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우리가 자동차보다는 자전거타기를 실천하고자 하는 것은 환경문제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자원을 무분별하게 낭비하고 화석연료를 과도하게 소비한 결과로 지구를 온난화시키고 수많은 생물을 멸종의 위기 속으로 몰아넣었을 뿐만 아니라, 인간 자신의 생존마저 위협받게 만들었던 것이다. 이제 지구환경의 열악화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절박함에서 사회시스템을 새로운 친환경적인 패러다임으로 다시 구축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자전거타기도 친환경적인 근거리의 교통수단으로 빨리 생활화되어야만 한다. 지금처럼 개인의 건강증진을 위해 무슨 스포츠를 하는 것처럼 자전거타기를 장려하는 수준에서 공공기관이 앞장 설 시기는 지났다고 생각된다.

자전거타기를 생활화하려면 첫째는 그 이용자의 확고한 인식전환이고, 둘째는 이와 관련된 시스템의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 먼저 이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근거리의 교통수단으로 자전거를 타면 경제적으로 절약이 되며, 또한 지구를 살리는 저탄소 정책에 동참하는 친환경적 생활의 실천자로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다시말해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생활패턴의 보편화가 시급한 것이다.

또한 사회시스템의 구축에는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는 길의 정비와 안전장구의 착용, 사고처리를 위한 보험제도 등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자전거타기의 문화는 나라마다 지역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프랑스 파리의 공영자전거 서비스 벨리브를 모델로 자주 거론하고 있다. 물론 이것도 참고할만 하지만 전 시민들에게 공영자전거 이용의 혜택을 골고루 주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개인이 교통수단이 아니라 운동할 목적으로 이용하는 데 까지 공영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은 당초의 환경정책과도 맞지 않는 셈이다. 오히려 개인이 교통수단으로 자전거를 마련할 때 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정책도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다.

필자가 경험한 바로는 미국 캘리포니아 데이비스도 참고할만한 자전거 도시라고 생각된다. 그곳에서는 특히 안전문제에 대해서는 배울 점이 많아 보인다. 헬멧의 착용은 말할 것도 없고, 야간운전시에는 전조등과 후미 반사경의 작동은 필수적이다. 또한 교차로를 지날 때의 교통수칙도 반드시 지켜야만 한다. 만약 이를 어기면 범칙금의 처분을 면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미 공적 자금을 투입하여 공영제도를 시행하는 곳에서는 에너지절약의 효과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그래야만 당초의 환경목적을 달성하는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칼럼>자전거 타기의 생활화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칼럼>자전거 타기의 생활화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TOP